실업급여를 신청하면 가장 먼저 궁금한 것, 바로 “도대체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겠죠.
2025년 기준으로 실업급여 지급 기준이 일부 조정되면서, 최소 보장 금액(하한액)도, 하루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상한액)도 달라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실업급여 금액을 계산하는 방법부터 예상 지급액 확인법, 실제 수령액에 영향을 주는 조건까지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실업급여는 하루 단위로 계산된다?
실업급여는 ‘한 달 얼마’가 아니라 ‘하루 얼마’로 산정되며, 총 수급일수에 따라 지급 총액이 정해집니다.
✅ 계산 공식:
일일 지급액 = 이직 전 평균임금 × 60%
- 하한액: 77,664원 (2025년 최저임금 기준)
- 상한액: 77,000원 (2025년 고용보험 기준)
✅ 꿀팁: 평균임금이 높더라도 하루 77,000원 이상은 받을 수 없습니다. 상한선이 존재합니다!
2025 실업급여 지급 기준 요약
구분 | 내용 |
---|---|
일일 지급률 |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 |
상한액 | 77,000원 |
하한액 | 77,664원 (2025년 최저임금의 80%) |
지급 주기 | 2주 단위로 실업인정일에 따라 지급 |
대기기간 | 최초 7일은 무급 (대기) |
실업급여 금액 계산 예시 (실전 사례)
① 평균임금 100,000원인 경우
- 100,000원 × 60% = 60,000원
- 하한액(77,664원)보다 작으므로 77,664원 지급
② 평균임금 140,000원인 경우
- 140,000원 × 60% = 84,000원
- 상한액(77,000원)보다 크므로 77,000원 지급
③ 평균임금 120,000원인 경우
- 120,000원 × 60% = 72,000원 → 72,000원 지급
✅ 꿀팁: 중소기업·자영업 이직자처럼 임금이 낮은 경우, 실업급여가 오히려 더 유리하게 계산될 수도 있어요!
총 지급액은 어떻게 계산할까?
실업급여 총액은
일일 지급액 × 수급일수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평균임금 120,000원, 수급기간 120일이라면?
- 일일 지급액: 72,000원
- 총 지급액: 72,000원 × 120일 = 8,640,000원
실업급여에 영향을 주는 3가지 요소
- 1. 구직활동 인정 여부 → 실업인정일마다 활동보고 필수
- 2. 근무소득 발생 여부 → 알바나 프리랜서 수익 있으면 일부 차감
- 3. 정지·중지 사유 → 해외출국, 입원 등은 수급일수에서 빠짐
✅ 꿀팁: 입사 직전 3개월 평균급여가 정확히 반영되도록 급여명세서를 꼭 챙겨두세요!
실업급여 금액 확인하는 법
실업급여 신청 전에 예상 금액을 확인하려면?
- 👉 고용보험 실업급여 계산기 활용
- 👉 평균임금 입력 → 지급액, 지급일수 자동 계산
✅ 꿀팁: 정확한 금액을 위해 최근 3개월 급여 총액 ÷ 총 근무일수로 평균임금을 직접 계산해 넣는 게 좋아요!
실업급여는 세금이 붙을까?
실업급여는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실업급여 수령 기간 중에는 소득세나 4대보험 공제가 없습니다.
단, 동시에 다른 근로소득이 발생하면 해당 소득에는 과세가 적용됩니다.
✅ 꿀팁: 실업급여는 비과세 수당이지만, 소득 합산 시에는 참고자료로 제출될 수 있으니 증빙자료는 잘 보관하세요!
결론: 실업급여 금액, 내가 받을 수 있는 만큼 정확히 확인하자!
- 2025년 기준 일일 상한액 77,000원, 하한액 77,664원
- 지급 기준은 평균임금의 60% (단, 상·하한 적용)
- 총 수급일수 곱하면 내 실업급여 총액 예상 가능
✅ 지금 바로 실업급여 계산기 돌려보고, 내 금액을 예측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