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법률

연말정산 신용카드 vs 체크카드 이렇게 써야 공제액 달라진다!

by lawlife 2024. 11. 15.

연말정산이 뭐냐고? 말하자면 13월의 월급, 나만의 소득공제 꿀팁 이다. 연말정산의 핵심은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어떻게’ 써야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느냐는 것. 어떻게 쓰면 좋냐고? 아래 글로 자세히 알아보자.

 

 

 

신용카드 vs 체크카드 어떻게 써야 가장 유리할까?

소득공제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산 방법
신용카드 소득공제 계산하기

 

 

체크카드 공제율이 높다? 물론이다, 공제율 30%. 반면 신용카드는 15%다. 그런데 그렇다고 무조건 체크카드만 쓰는 게 답은 아니다. 신용카드 자체적으로 할인 혜택도 있기때문이다. 이게 정답이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섞어서 쓰는 게 핵심이다.

예시: 총 급여액 6,000만 원, 신용카드로 이미 3,100만 원 사용한 경우 (2024년)

현재 신용카드로 3,100만 원을 사용했고, 올해 TV(300만 원)를 추가로 구매할 계획이다. 그렇다면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중 무엇으로 결제하는 것이 유리할까?

전제 조건

  • 총 급여액: 6,000만 원
  • 2024년 카드 사용액: 3,000만 원
  • TV 추가 구매 비용: 300만 원
  • 총 급여의 25% 기준액: 6,000만 원 × 25% = 1,500만 원
사용 방식 기본 공제 대상 금액 공제율 소비 증가분 추가 공제 총 소득공제 금액
체크카드 (3,100만 원 - 1,500만 원) × 15% + 300만 원 × 30%
= 300만 원 (한도 도달)
30% [(3,400만 원 - 3,150만 원) × 10%] = 25만 원 325만 원
신용카드  (3,400만 원 - 1,500만 원) × 15% = 285만 원 15% [(3,400만 원 - 3,150만 원) × 10%] = 25만 원 310만 원

 

 

결론: 체크카드로 TV를 구입하면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것보다 소득공제를 15만 원 더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024년 11월 13일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추가 혜택

소득공제 한도 늘려주는 썸네일
신용카드 체크카드 추가햬택

 

 

만약 작년도보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사용액이 5% 이상 증가했다면 초과 금액의 10%를 추가로 더 공제 받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소비를 조금 늘려 추가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연말정산 공제 극대화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니 참고 하기 바란다.

 

아래 파일은 11월 13일에 발표 된 연말정산 추가혜택 받을 수 있는 정부 자료다. 다운받아 확인 해보기 바란다. 

 

241113 연봉은 같은데 세금은 다르네, 13월의 월급 미리 챙겨보자 (1).pdf
0.50MB

 

 

 

 

카드 소득공제 한도 

총 급여액 카드 소득공제 한도 비고
7천만 원 이하 300만 원 전통시장, 대중교통 추가 공제 가능
7천만 원 초과 200만 원 문화비 소득공제 제외

 

 

참고로, 카드 사용액이 모두 공제 대상은 아니다. 연 소득의 25%를 넘는 지출액에 대해서만 공제가 가능하며, 한도는 총 급여에 따라 달라진다. 지출 계획을 세울 때 이 점을 유의하자.

 

 

맞벌이 부부 위한 연말정산 꿀팁

 

맞벌이라면 서로의 소득 수준에 따라 지출을 나누는 것이 좋다. 특히 소득이 낮은 배우자에게 주요 지출을 몰아주면 공제 조건을 충족하기가 더 쉽다.

예시: 남편 총 급여액 6,500만 원, 아내 총 급여액 4,000만 원인 맞벌이 부부

배우자 총 급여액 공제 기준 금액 (총 급여액의 25%) 초과한 지출에 대해 공제 가능
남편 6,500만 원 1,625만 원 초과 금액에 대해 공제 가능
아내 4,000만 원 1,000만 원 초과 금액에 대해 공제 가능

 

 

아내의 카드로 주요 지출을 몰아주면 공제 한도를 쉽게 채우고 공제 혜택도 더욱 받을 수 있다.

 

가족카드 전략

카드 소득공제는 카드 명의자만 혜택을 받는다. 따라서 소득이 낮은 배우자를 가족카드 명의자로 지정해 주요 지출을 몰아주는 전략이 유리하다. 이렇게 하면 부부가 각자의 카드 한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의료비 세액공제 챙기기

 

의료비 세액공제는 연 소득의 3%를 넘는 금액부터 적용되며, 소득이 낮은 배우자에게 의료비 지출을 집중하면 공제 요건을 충족하기 쉽다. 카드와 의료비 공제를 함께 활용하면 세금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다.

 

 

마지막 꿀팁

 

연말정산은 1년간의 소비 습관이 반영된다.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사용 내역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공제 가능한 항목 위주로 지출 계획을 세워보자. 이 전략으로 연말정산에서 나만의 13월의 월급을 반드시 챙기길 바란다!